3-2. 플롯 분석
학습목표
• 플롯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플롯
(1) 플롯이란 무엇인가?
스토리는 사건을 시간 순서로 나열한 것이다. 이에 비해 플롯은 사건의 질서와 의미를 결정짓는 힘에 의해 구사되는 구성을 가리킨다.
즉, 스토리는 개연성 없는 사건의 나열이지만 플롯은 하나의 주제 아래 서로 연관을 맺는 유기적인 구성이다.
① 예 1: 스토리(시간의 순서에 따른 사건의 나열)
나는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갔다. 학교에서 몸이 아파 조퇴를 했고 집에 돌아와서는 잠이 들었다. 밤이 되어서야 눈을 뜨고 집이 텅 빈 것을 알았다. 늦은 식사를 하고 앨범을 뒤적이다 TV에서 개가 뛰어다니는 화면을 보고 눈물이 났다. 한동안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 외롭다. 밖은 인적이 끊긴 새벽이다. 잠이 든다.
② 예 2: 플롯(‘애견의 죽음을 슬퍼함’이라는 주제에 따른 구성)
눈을 뜨고 밖을 보니 인적이 끊긴 새벽이다. TV에서 개가 뛰어다니는 화면을 보자 눈물이 났다. 왜 눈물이 나는 걸까? 마음의 상처 때문이다.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은 아물지 않은 상처. 꼭 일주일 전이었다. 나가기 싫다는 ‘샘’을 데리고 산책을 나간 길에서 난 성준을 만나 이야기를 했다. 그 바람에 샘의 목줄을 놓치고 한걸음에 달려 나간 샘이 자동차와 부딪쳤다. 일주일 전 ‘샘’의 교통사고 현장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괴롭다. 그리고 외롭다. 눈물로 밤을 지새운다. 다음 날 아침, 학교에 간다. 마음의 상처를 안고. 42
(2) 3막 구성 영화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플롯의 형태는 3막 구성이다.
관객의 작품에 대한 동일화 과정이 쉽고, 그에 따라 관객이 느끼는 카타르시스가 분명하다는 점에서 3막 구성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3막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3-2> 3막 구성
1막 전제-극의배경과 함께 메인사건이 발생하기 전의 평화로운 상태
1st piot point
1막후반-메인 사건에 따른 평형이깨지고,그에따라 극이 진행된다
2막-1막의 결과 극의 진행방향이 달라지고,
인물의 내적갈등,또는 사건의 외양적 파장이 갈등의 심화 확대를 불러온다
2st piot point(mid point)-갈등의 상황이 위기로 고조되고,
이 에따라 주인공은 양갈래의 극단에 놓이며 하나의 선택을 강요받는다
클라이 막스-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갈등과 위기가 폭발하고 사건이 해결된다
3막-사건해결 이후,1막과는 달라진 주인공이 새로운 상태에 도달한다
'#영화제작-기획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제작#시나리오2 (1) | 2022.10.03 |
---|---|
#영화제작#시나리오1 (0) | 2022.10.03 |
#영화제작#소재개발 (0) | 2022.10.03 |
#영화제작#원작물 활용기획 (0) | 2022.10.03 |
#영화제작#소재찾기 (0)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