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제작-기획개발

#영화제작#시나리오2

3-4. 기획에 따른 제작방향 결정

학습목표

• 기획방향에 따라 제작방법과 제작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영화제작 가능성 판단

(1) 영화제작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타깃 관객을 조직한다.

(2) 기획서와 기획서를 바탕으로 다음 [그림 3-2]와 같은 간단 설문지를 작성하여 타깃 관객의 의견을 수렴한다.

 

[그림 3-2] 영화 기획서 설문지 예시

1기획서의 소재가 재미있습니까?

2기획서의 시놉시스가 흥미로우신가요?

3기획의도에 공감하십니까?

4영화화된다면 관람하시겠습니까?

 

 

(3) 영화기획팀(제작자, 기획프로듀서, 프로듀서 )은 기획방향에 따른 투자 및 시장환경 분석과 타깃 관객 설문 결과를 비교하여 영화제작 가능성을 판단한다

 

2. 기획 단계 핵심 체크 사항

(1) 시나리오 기획방향에 맞는 작가를 찾아 결정한다.

(2) 시나리오 기획방향에 맞는 감독 후보군을 조사하고 결정한다.

(3) 주연배우 후보군을 조사하여 작성하고, 출연 가능성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한다.

(4) 투자 및 개봉에 특수성이 있는지 판단하고, 만약 특수성이 있다면 그에 맞는 투자 그룹이나 개봉 시기를 고려하여 일정을 세운다.

예를 들어, 말이 주인공인 경우에는 마사회의 투자를 유도하고, 여름철에 반드시 개봉하여 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투자 및 기획 일정을 확인한다

 

수행 내용 /

영화제작 가능성 판단하기

 

재료·자료 • 개봉영화의 기획서

 

수행 순서  영화제작 가능성을 판단한다.

1. 조를 나누고 각 조별로 기획서를 제시한다.

이때, 기획서는 장르별, 타깃 관객별로 차이가 있는 개봉영화의 기획서를 제시한다. • 예: 1조: 광해, 왕이 된 남자 2조: 7번방의 선물 3조: 화이트: 저주의 멜로디

 

2. 각 조의 조원들은 전문가의 역할을 나누어 기획서의 제작 가능성을 판단한다. • 예: 제작자, 투자자, 기획 PD, 제작 PD, 작가, 감독 등

 

3. 타깃 관객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별로 설문조사를 시행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반드시 타깃 관객으로 설정하고, 설문지 내용은 기획서의 내용에 따라 고쳐 쓸 수 있다.

 

4. 각 조는 기획서를 토대로 한 시장환경 현황과 타깃 관객 설문결과를 전문가의 역할에 따라 분석하고 토론하여 제작 가능성을 판단한다.

 

5. 조별로 결과를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