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소재 찾기
학습목표
• 영화화할 수 있는 소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소재의 영역에 따른 관련 자료를 검색하고 수집하여 소재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영화화할 수 있는 소재의 특성 파악하기
(1) 영화 소재는 이야기로 확장할 수 있는 상황과, 추상적인 개념어가 아닌 구체적인 명사형에서 찾아내야 한다.
예를 들면, ‘화재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은 이야기로 확장할 수 있고 구체적이지만, ‘한 여자가 쓰러져 있고 주변 사람들이 삥 둘러싸고 있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우정’이나 ‘사랑’과 같은 추상명사를 영화 소재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병원에 갇힌 두 남자의 우정’, ‘원수가문의 남녀의 사랑’ 등과 같이 좀 더 구체적인 소재가 영화화하기에 알맞다고 할 수 있다.
(2) 영화 소재는 관객의 일상생활에서 공감되는 정서를 통해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일상에서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소재의 예를 들면 ‘장애인 아버지와 딸의 사랑’과 같이 가족애 정서나, ‘부산 해운대의 쓰나미’와 같이 긴장과 공포를 유발하는 것, ‘귀신을 보는 여자를 사랑하는 마술사’와 같이 독특한 연애 감정을 통해 관객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하는 것 등이 있다.
(3) 대중이 공감하는 화젯거리와 트렌드를 파악함으로써 영화 소재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의 경우, 장애학교의 인권유린을 대중에게 폭로함으로써 비인간성에 대한 공분과 복지 현주소의 이슈화를 영화화했으며, “광해, 왕이 된 남자”의 경우에는 신분이 바뀐 왕과 광대라는 소재를 통해 올바른 지도자상과 현 정치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영화제작-기획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제작#소재개발 (0) | 2022.10.03 |
---|---|
#영화제작#원작물 활용기획 (0) | 2022.10.03 |
#영화#소재분석 (0) | 2022.10.03 |
#영화제작자의#전문성 파악 (0) | 2022.10.03 |
#영화기획 #방향설정 (0)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