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소재 영역 결정
학습목표
• 영화산업의 특성에 맞는 규모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소재의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 목표관객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소재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영화시장 상황에 걸맞은 영화 버짓(budget) 결정
(1) 제작할 영화의 규모
시장 환경에 따라 영화 규모는 블록버스터 영화, 평균 규모의 영화, 저예산 다양성 영화, IPTV 개봉용 영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영화 규모는 제작 총액에 따른 구분은 물론 윈도 창구 활용에서도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블록버스터의 경우, 100억 원 이상의 규모로 제작됨에 따라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개봉까지도 염두를 두어야 한다. 반면, 평균 규모의 영화는 국내 극장 개봉에서 먼저 이익을 내야 한다. 또한 저예산 다양성 영화의 경우, 개봉극장이 제한적이고 관객의 규모가 적은 데서 오는 수익구조를 판단하여야 한다. 최근 새롭게 떠오르는 IPTV 개봉영화의 경우 IPTV 시장에 맞는 소재가 제한적이며, 수익구조 역시 적다는 것을 판단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시장환경에 적합한 영화의 규모에 따라 소재 영역은 차이가 있다. 기획의 시발점은 영화 규모에 맞는 소재 찾기이다.
(2) 영화 소재의 영역
영화는 규모에 따라 타깃 관객과 장르를 구별하여 소재 영역을 파악해야한다.
왜냐하면, 규모에 21 따라 관객층의 성향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블록버스터의 경우, 국내시장의 전체관람가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의 관객 특성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저예산 다양성 영화의 경우 상업영화와는 다른 예술성을 원하는 관객층의 요구를 판단하여야 하며, IPTV 개봉영화의 경우 극장에서와는 다르게 집에서 혼자 관람하고 싶은 관객의 욕구를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영화규모에 따른 관객 성향을 판단하고 소재를 찾는 것은 영화수익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지렛대이다.
2. 목표관객의 성향에 따른 소재 영역 결정
(1) 목표관객 설정
영화관객층의 변화에 따라 목표관객을 설정할 수 있다. 최근 한국영화는 국내극장 관람객 2억 명 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 해 국민 1인당 평균 4편의 영화를 극장에서 본다. 과거 20~30대 중심의 극장영화 관람인구가 점점 넓혀지고 있다. 실례로, 노인층을 타깃 관객으로 기획한 영화들이 성공하였으며(예: “그대를 사랑합니다”), 40대 남성관객의 티켓파워로 성공한 사례(예: “은교”) 도 있다. 그러므로 이제 영화 관람객의 범위를 넓게 보고 목표관객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대 관객의 영화 관람 형태가 IT를 이용한 다운로드 관람으로 바뀌는 시점에서 젊은 층 이외의 관객을 타깃 관객으로 삼아 소재의 영역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2) 목표관객의 성향에 따른 소재 영역의 결정
목표관객은 제작영화의 리드 관객이다. 그러므로 목표관객의 성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소재의 영역을 정해야 한다. 성향에 대한 파악은, ① 영화관람 형태, ② 선호하는 장르, ③ 관심 분야, ④ 좋아하는 배우, ⑤ 영화 선택 시 고려 요인 등에 따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특히 타깃 관객의 일상생활에서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는 소재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들의 관심사를 소재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영화화할 수 있는 소재를 찾는 것이 목표관객에 맞는 기획의 첫걸음이다.
'#영화제작-기획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제작#원작물 활용기획 (0) | 2022.10.03 |
---|---|
#영화제작#소재찾기 (0) | 2022.10.03 |
#영화제작자의#전문성 파악 (0) | 2022.10.03 |
#영화기획 #방향설정 (0) | 2022.10.03 |
#영화관객#성향파악 (0) | 2022.10.03 |